대규모 리엑트 웹앱 개발

대규모 리엑트 웹앱 개발

추상화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에 올바른 추상화의 선택은 매우 중요

  • 내가 일하는 필드에 있는 다른 개발자들의 문제 접근법을 예상하는 것

  • 내가 무언가를 알지 못하고 있는 시점을 깨닫는 것 포함

  • 잘못된 추상화보다는 추상화가 없는 편이 낫다.

  • 잘못된 추상화는 불필요한 복잡성으로 이어지고, 개발 시간을 늘리고 유지보수성을 저하시킴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은 '크기'가 아닌,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사용자와 비즈니스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가와 관계됨

  • ex: 마찰 없이 작업은 완료하는 것(성공적으로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구매를 완료하는 등)

  • 넓은 관점에서는 품질은 멋진 UX, 접근성, 식별성, 신뢰성, 바람직함, 가치 등을 포함함

  •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각 특징의 중요도는 모두 다름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고려 항목

사용성

  • 성능: 속도(빠른 로딩), 렌더링,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 태스크 완료: 원하는 테스크를 완료하기 위한 최소 단계

  • 안정성: 페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기능성과 가용성

접근성

  • 접근 가능성: 특별한 니즈를 가진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 스크린 리더 지원, 키보드 내비게이션, 낮은 색대비 등

신뢰성

  • 개인 정보: 사용자 정보는 적정한 허가 수준에 따라 다뤄져야함

  • 보안: 사이트에서의 데이터 및 커뮤니케이션의 무결성

  • 신원: 사이트 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에 의해 특정 지어진다.

  • 진위 여부: 앱에서 제공되는 내용은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확인 가능성

  • 발견 가능성: 검색 엔진을 통해 페이지가 발견되는 정도

유용함

  • 역량: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유사한 고급 기능

바람직함

  • 시각적 경험: 웹 앱의 페이지가 시각적/심미적으로 매력적이다.

  • 신뢰성: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치

  • 기능: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콘텐츠, 기능, 유스케이스

ETC

  • 확장성: 증가된 사용자 트래픽과 데이터를 성능에 큰 영향 없이 취급할 수 있는 능력

  • 유지보수성: 시간이 흐른 뒤에도 버그가 침임하거나 기존 기능을 망가뜨리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얼마나 쉽게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정도

  • 신뢰도: 버그 및 크래시에 자유롭고, 사용자에게 지속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