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 with Team
일은 혼자가 아닌, 항상 누군가와 함께하게 된다.
조직 단위에서 코드의 일관성과 표준화를 지키기 위해 규칙을 어떻게 설정하고 유지할지 고민하는것이 필요하다.
팀으로 일할 때 발생하는 문제
팀으로 일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코드를 고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코드의 구조가 일반적이지 않으면 해석에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게 됨
특히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수정할 때는 코드 컨벤션이 지켜지지 않았거나, 라이브러리의 철학을 따르지 않은 경우 등으로 인해 이견이 생기기 쉬움
따라서 "내가 작성한 코드를 다른 사람도 쉽게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는 전제를 가져야한다.
구성원들의 개개인의 철학이나 역량, 경험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어느정도 맞춰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코드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
코드 리뷰
코드가 의도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불필요한 Side Effect가 없는지
코드 컨벤션
프로젝트 철학에 맞는 구조인지
팀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형식을 갖췄는지
문서화
공통 코드나 커스텀 라이브러리에 대한 명세
사용 예제 및 Playground (Storybook) 제공
개발가이드 및 세미나
프로젝트의 핵심 철학을 정기적으로 강조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인지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마련 ex: 세미나
AI를 조직이 활용할 때
AI Agent를 하나의 동료로 생각하여 우리의 개발 철학과 방법론을 일치시킨다.
조직의 철학과 컨벤션을 AI에게 주입하면, 의도에 맞는 코드를 일관되게 생성할 수 있음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코드는 프로젝트 관점에서 리스크 최소화되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반대로, AI가 작성한 코드가 조직의 방향과 맞지 않게되면 활용하기 어렵게됨
따라서 조직 내 AI를 도입시 표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AI에게 조직의 철학과 방법론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표준화에 다 들어있기 때문
개인의 워크플로우와 조직의 워크플로우가 Align 되어야 프로젝트를 더 잘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워크플로우를 연계하는 과정이 필요
조직에서 AI를 도입했을 때 장점
코드를 일관된 형태로 작성되는 것은 쉽지 않지만, AI를 도입하면 이를 해소할 수 있다.
코드가 일관된 형태로 작성됨 → 코드 리뷰 및 개발 가이드에 드는 비용 절감
온보딩에 들어가는 비용 최소화
코드 품질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 향상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없고 큰 틀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개발 생산성 전반적으로 개선
레거시 코드 수정이나 개선 과정에서 큰 효율성 확보
팀원 누구나 유사한 형태로 개발할 수 있어 프로젝트 관리하기 용이해짐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