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관리 with Jira

이슈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작업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

이슈 관리 트리 구조

여기서 말하는 이슈는 여러 세부 항목으로 나뉨

  •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사용자 관점에서 요구되는 기능

    • 기능 개발의 단위로 사용자 입장에서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설명

    • Who, What, Why를 간결하게 표현함

  • 작업 항목(Task): 사용자 스토리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작업 단위

    • 개발, 디자인, 테스트, 문서 작성 등의 세부 작업

    • How를 담당

  • 버그 리포트(Bug): 기능 문제 등 수정이 필요한 사항

  • 새로운 기능 제안(Feature Request): 기존에 없는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제안

  • 개선 제안(Enhancement): 현재 기능이나 성능의 개선 요청

  • 데이터 확인 요청(Data Check): 데이터의 정확성이나 이상 여부에 대한 검토

  • 코드 리뷰(Code Review): 코드에 대한 품질 체크 및 피드백 요청

  • 테스트 및 QA(Testing/QA): QA 팀 또는 자동화 테스트 관련 항목

  • 기타 운영 관련 요청(Operations): 배포, 서버 관리, 인프라 관련 업무 등

이슈 관리의 목적

  • 정기/비정기적 해야 할 일 (Task)의 체계적인 관리

    • 정기적: 연간, 분기, 월간, 스프린트, 주간 계획 등

    • 비정기적: 긴급 요청, 운영 이슈, 장애 처리, CS 등

  • 팀 간 협업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 진행 상황 추적 및 기록

  • 전체 프로젝트의 흐름과 병목 파악

이슈 관리 주요 개념

  • 마일스톤(Milestone):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한 큰 단위의 일정/기한. 프로젝트 상의 주요 시점 또는 목표

    • 마일스톤 자체가 작업 단위는 아니고, 여러 에픽이나 이슈를 포함하는 일정 기준점 역할

  • 에픽(Epic): 관련 이슈들을 묶는 큰 기능 단위

    • 실제 개발 작업을 포함하는 '기능적 단위'

    • 여러 개의 관련된 사용자 스토리를 묶은 그룹

  • 추정 포인트(Story Point): 작업의 난이도/소요 시간을 추정한 단위

업무 계획 및 이슈 생성 흐름

1. 업무 계획 수립

  • 연간 로드맵

  • 분기별 목표

  • 월간 계획

  • 반복되는 스프린트 단위 (주간 or 2주 단위)

2. 계획을 이슈로 구체화

  • 마일스톤 설정

  • 에픽 생성

  • 사용자 스토리 및 테스크 세분화

3. 이슈 관리 절차

  • 이슈 생성 및 할당

  • 우선순위 설정

  • 일정 추정 (스토리 포인트 or 일정 기준)

  • 스프린트에 포함시키기

  • 담당자 지정

Jira

Atlassian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애자일(Agile) 방식에 최적화 되어있고, 다음 기능을 제공함:

  • 애자일한 프로젝트 관리 최적화 (스크럼, 칸반 보드 제공)

  • 다양한 이슈 유형과 계층 구조

    • 에픽, 스토리, 테스크, 버그 등

  • 스프린트 계획 및 진행 추적

    • 백로그 관리 및 일정/우선순위 지정 가능

  • 보고서 및 대시보드 제공

    • 성과 및 이슈 진행상황 추적

  • Confluence, Bitbucket 등 Atlassian 제품과 연동

    • Confluence: 팀의 지식과 문서를 한곳에 모아 공유하고 협업하는 위키

    • Bitbucket: Github Jira 버전 (Git 기반 소스 코드 저장소 및 버전 관리 서비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