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수학적 함수(순수 함수)를 사용하고 부수효과를 피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정의에 따르면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부수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 함수만을 사용해야 할 것 처럼 보이지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만드려면 부수효과는 꼭 필요하며, 순수하지 않은 함수도 사용한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목표
부수효과(사이드 이펙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닌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코드(순수 함수)와 부수효과를 일으키는 코드를 분리하는 것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부수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을 코드에서 분리하고 격리해서 기존의 부수효과로만 다뤘던 작업을 순수한것처럼 다룰 수 있게 추상화 한다.
수학적 함수란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의 정의와 일치하기 때문에 수학적 함수라 불린다.
숨은 입출력이 없다. 즉, 값을 반환하는것 외에 부수적으로 일으키는 효과가 없다.
함수 호출횟수와 상관없이 같은 입력값이 주어지면 항상 동일한 출력값을 반환하는 참조 투명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예측 가능)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