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Actions 설정
Last updated
Last updated
깃허브 액션은 빌드, 테스트, 배포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는 CI 및 CD 플랫폼
깃허브 액션은 깃허브 저장소에 yaml
파일을 배치시키는것 만으로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음
깃허브 액션에서 워크프로는 일련의 작업들로 구성된 자동화 프로세스를 의미
.github/workflows
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워크플로 파일을 배치한다.
이 작업만으로 깃허브 액션을 실행시킬 수 있음
새로 생성한 저장소는 테스트가 실패한 상태여도 병합이 가능하다.
의도치 않은 병합이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Settings] -> [Branches] 페이지에서 브랜치 보호 규칙을 설정해야함
규칙을 적용하려는 브랜치명 패턴을 Branch name pattern
에 입력
Require status checks to pass before merging
에 체크
상태 검사 검색 박스에 작업 이름을 입력해서 해당 작업을 상태 검사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음
yml 파일에 지정했던 작업 이름을 입력하고 목록에서 선택
페이지 하단에 [Create]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 완료
워크플로를 실행시킬 트리거와 워크플로의 내용을 기술하는 작업을 조합하면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 가능
워크플로 파일 맨 위에 있는 name
은 워크플로를 잘 나타내는 이름으로 작성
이름은 실행 결과 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어야함
PR이나 액션 이력에서 식별을 위한 레이블로 사용됨
워크플로 파일 상단에 위치한 env
워크플로에 있는 작업에서 참조할 수 있는 환경 변수들을 정의한다.
주로 ID, 비밀번호, 토큰 등 민감한 크리덴셜 정보를 참조할 때 사용함
저장소마다 있는 Actions secrets
에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워크플로 파일에서 참조 가능
${{ secrets.환경 변수명 }}
형식의 템플릿 문자열
해당 방식으로 Actions.secrets
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함
워크플로를 실행할 타이밍을 지정
모노레포로 구성된 저장소에서는 다르게 지정해야 한다.
테스트 대상과 상관없는 파일이 푸시됐을 때에도 워크플로가 실행되기 떄문
특정 패키지에 포함된 소스코드가 푸시됐을 때만 워크플로가 실행되도록 세부 경로를 지정해야함
워크플로에서 수행할 작업들을 단계별로 지정함
작업을 실행할 가상 환경의 운영체제를 지정
상황에 맞는 여러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가능한 운영체제는 공식문서에서 확인
작업에서 실행할 모든 스텝을 그룹화함
그룹에는 개별 액션, 또는 셸 스크립트를 포함시킬 수 있음
스탭에서 액션을 사용할 때 선언한다.
actions/checkout
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액션
CI 환경에서 저장소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액션
대부분 작업에서 사용됨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는 actions/setup-node
도 대부분의 작업에서 사용함
버전을 같이 지정하면 특정 버전의 Node.js가 CI 환경에서 설치됨
CI 환경에서 실행할 커맨드를 작성
프로젝트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커맨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package.json에 작성한 npm scripts도 실행 가능
작업을 실행한 결과물(설치한 모듈 혹은 빌드된 파일 등)은 캐싱이 가능하다.
캐시를 활용하면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여러 작업에서 결과물을 공유할 수 있음
깃허브 액션의 워크플로는 여러 작업의 병렬처리도 가능함
모든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 가능
병렬 및 캐싱처리하여 작업을 재조합하면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
테스트 코드가 많아질수록 작업을 병렬처리한 효과도 극대화 된다.
의존관계에 따라 병렬처리
개발환경과 동일하게 CI 환경에 node_modules
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테스크를 실행할 수 있게 됨
세 가지 테스크에는 의존 관계가 없기에 각각을 하나의 작업으로 분할해서 병렬처리 가능
타입 검사, Lint 실행
단위 테스트 실행
스토리북 빌드
빌드된 스토리북을 대상으로 테스트하는 작업
UI 테스트와 시각적 회귀 테스트는 서로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병렬처리
스토리북을 활용한 UI 테스트
스토리북을 활용한 시각적 회귀 테스트
워크플로를 구성하려면 작업들 간 의존관계를 설정해야 함
작업의 needs
라는 프로퍼티에 의존하는 작업 명칭을 지정하면 의존하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해당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이것이 작업간 의존관계 설정
모든 작업에는 프로젝트에 설치된 node_moduels
가 필요함
따라서 npm ci
로 node_modules
를 먼저 설치해야 하지만 단순히 설치한다고 해서 후속 작업에서 공유할 수 없음
깃허브 액션이 지원하는 actions/cache
를 사용하면 지정하 명칭의 에셋을 캐싱하거나 캐싱된 에셋을 불러올 수 있음
한 작업에서 캐싱한 에셋을 다른 작업에서 불러올 수 있게되면 독립된 여러 작업 간에 에셋을 공유할 수 있게됨
install
부분에 if
문으로 작성한 조건은 'node_modules_cache
라는 ID로 특정 가능한 캐시가 없다면' 이다.
즉, 캐시가 없으면 설치를 시작하고 캐시가 있으면 스텝을 종료한다는 의미
path
에는 캐시의 경로를, key
에는 캐시에 사용할 키를 지정
hasFiles
함수를 사용해 package-lock.json
내용으로 해시 키를 생성함
package-lock.json
에 갱신된 내용이 없으면 캐시를 재활용하게 됨
check
라고 명명한 작업에는 타입 검사와 Lint를 실행하고 있음
Restore node_modeuls
에서는 install
에서 캐싱했던 node_modules
를 불러온다.
캐싱했을 때와 코드는 동일하지만 지금은 워킹 디렉터리에 캐싱한 에셋을 불러오는 역할임
동시에 병렬처리하는 unit-test
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캐시를 불러와 테스트 실행
스토리북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실행하려면 미리 CI 환경에서 스토리북을 빌드 한 후, node_modules
설치와 동일하게 후속 작업을 위해 빌드된 스토리북을 캐싱
지금은 캐시용 키로 github.sha
를 사용해서 같은 커밋 내에서만 캐시를 공유 가능
끝으로 빌드된 스토리북을 불러와서 테스트를 실행
빌드된 스토리북은 UI 테스트 및 시각적 회귀 테스트에 사용됨